직군 |
담당업무 명칭 |
업무 세부 |
관련학과 |
근무지 |
연구개발 |
공정개발 |
[반도체 증착 공정장비에 적용할 차세대 기술 개발 및 양산 적용을 위한 품질, 수율, 신뢰성 확보]1. ALD, CVD, Metal, Diffusion 증착 공정장비기술 개발- 차세대 혁신 공정 및 박막 분석, 신기술 Sensing- 박막 개발 운영 : Defect 제어/RF 분석을 통한 박막 개발 운영2. 국내외 장비 개발/양산 대응- 양산 공정장비 H/W 개선/최적화 |
*석/박사 지원가능
[우대사항]- 관련 학과 석사 이상- 반도체 공정 교육 이수 등 반도체 공정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자- 관련 분야 연구 경력자 |
평택
|
기구설계 |
[시장과 고객이 필요로하는 반도체 공정장비에 대한 차세대 핵심 설비기술 개발 및 양산 적용]1. 반도체 공정장비에 대한 차세대 기술 개발 및 설계- 차세대 핵심 설비기술 개발- Concept 설계2. 반도체 공정장비 신규/양산 설계- 반도체 공정장비 양산 대응 및 CIP 설계 |
*석사 지원 가능
[우대사항]- 반도체 공정 교육 이수 등 반도체 공정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자 |
||
Simulation |
[반도체 공정장비 성능 및 구조해석]1. 반도체 공정장비 구조해석- ANSYS Fluent 및 Mechanical을 이용하여 열, 유동, 구조 해석 수행- 반응 Chamber 내 저압 유동, 농도장, 온도장 해석2. 반도체 공정장비 성능해석을 통한 성능 향상방안 고안- 화학 반응 Mechanism, Particle 추적, UDF를 활용한 다양한 모델 수립- 압력, 온도, 반복하중이 고려된 응력과 변형량, 진동, 제품 수명주기 예측 |
*석/박사 지원가능
[필수사항]- 관련 학과 석사 이상[우대사항]- 관련 분야 연구 경력자- ANSYS Fluent, Mechanical 사용 가능자- Pro-E를 포함한 Design Tool 사용 가능자 |
||
Data Science |
[수리/응용통계를 적용한 공정 데이터 해석(데이터 마이닝, 통계, 머신러닝, 최적화)]1. 공정 데이터 분석- DOE 수립, Data 검증력 강화, 최적 설계- 제조 기반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- Data Warehouse의 체계적 구축2. 신기술 개발- Virtual Metrology, Predictive Maintenance, Equipment Health Monitor 개발- Data Mining w/ Data Warehouse- Digital Twin w/ Physical Model-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Event, Recipe, Equipment Constant, SVID, Hardware Configuration, etc. |
*석/박사 지원가능
[우대사항]- Python, R, Matlab, Scala 경험자- Tensorflow, Caffe, Torch, Theano, Spark 활용 능력 보유자- Python기반 라이브러리 개발, 패키징 및 배포 등 경험자- 반도체 공정관련(CVD, Etching 등) Domain 지식 및 경험 보유자 |
||
|
RF/플라즈마 |
[혁신적인 반도체 공정장비의 RF/플라즈마 개발 및 관련 부품 개발 및 양산]1. 반도체 공정장비 적용 모듈/소스 개발- 신규 플라즈마 소스 개발- RF 모듈 개발2. 신규설비/공정에 대한 분석 및 개발 등- RF/플라즈마 분석 및 개발- 양산 Process 대응 |
*석/박사 지원가능
[우대사항]- 반도체 공정 교육 이수 등 반도체 공정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자 |
|
영업 |
부품영업(해외) |
[시장과 고객에 대한 영업 및 마케팅 활동 수행을 통한 고객사 공급장비에 대한 부품 공급 및 영업]1. 영업 및 마케팅- 공급 장비관련 부품 영업- 해외 고객사 공급 장비관련 부품 공급 및 지원 |
전기/전자, 국제통상, 중국어[필수사항]- 영어, 중국어 가능자[우대사항]- 반도체 공정 교육 이수 등 반도체 공정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자 |
|
부품영업(국내) |
[시장과 고객에 대한 영업 및 마케팅 활동 수행을 통한 고객사 공급장비에 대한 부품 공급 및 영업]1. 영업 및 마케팅- 공급 장비관련 부품 영업- 국내 고객사 공급 장비관련 부품 공급 및 지원 |
전기/전자, 상경계열[우대사항]- 반도체 공정 교육 이수 등 반도체 공정 기술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자 |
||
품질 |
품질보증 |
[최고의 설비 품질 구현을 위해 개발 단계의 사전 검증 체계 운영부터 양산 단계의 설비별 성능 편차 최소화를 위한 양산 품질 보증업무 진행]1. 품질 지표 발굴 및 개선 업무- 각종 품질 Data 통계 분석 및 Data Mining을 통한 품질 개선 활동2. 품질 시스템 운영 실무- 내부 업무 프로세스 점검(Audit) 및 개선 활동 등 |
*석사 지원가능
[우대사항]- 관련 학과 석사 이상 |
|
Staff |
구매 |
[시장과 고객에 대한 지속적인 구매 전략, 추진을 통한 경쟁부품/자재/개발장비 구매 및 발주]1. 구매 및 원가관리- 설비 부품 구매 및 발주- 장비별 원가 분석 및 관리2. 협력업체 동반성장 관련 업무- 협력사 소싱, 평가, 등록, 가격결정 및 협력사 육성 업무- 협력사 협업 신규 부품개발, 계약 체결 등 |
경영학, 경제학, 산업공학 등 관련 학과[우대사항]- OA능력 우수자- 영어, 일본어 회화 가능자 |
직군 |
담당업무 명칭 |
업무 세부 |
관련학과 |
근무지 |
연구개발 |
연구개발 |
[반도체 공정용 특수가스, 프리커서 개발을 위한 신소재 연구개발 및 수소가스 개발 연구전략과 사업방향 기획]1. 특수가스 연구개발- 반도체용 무기 화합물 합성 및 정제(특히, 반도체용 가스 합성 정제)- 신규 Dry Etch/유기/무기금속 화합물 개발- 특수가스 합성 정제에 필요한 촉매 연구개발- 반도체용 신규 소재 개발 및 Dry Etch & CVD 공정 평가2. 프리커서 개발- 반도체 증착 소재 개발 및 CVD, ALD 공정 평가- 박막 물성 및 구조 분석- DFT/MD Simulation을 통한 소재 및 공정 개발 |
* 석사/전문연구요원 지원가능
[필수사항]- 관련 학과 석사 이상 |
청주
|
Staff |
구매 |
'[시장의 변화를 파악하고 필요한 공사 및 자재를 적정한 가격, 품질, 시간에 제공하여 이익 창출 기여]1. 구매/외주 전반 관리- 설비 및 자재 소싱, 입찰 및 계약- 공사 및 유지보수 업체 입찰 및 계약- 계약 단가 관리 및 분석2. 협력사 관리- 협력사 발굴 및 커뮤니케이션- 협력사 평가 및 협상 |
상경계열, 산업공학 등 관련 학과[필수사항]- 비즈니스 영어 가능자(Reading/Writing/Speaking)- OA능력 우수자[우대사항]- 중국어 가능자 |
|
법무 |
[준법/윤리경영 체제 확립을 위한 IP컴플라이언스 및 내부자거래 컴플라이언스, 법무관리]1. IP컴플라이언스- 국내외 지식재산권 관리(출원/유지/등록)- 직무발명보상제도 운영 실무- 관련 행정 업무2. 상장회사 내부자거래 컴플라이언스- 공시 업무(공시자료 작성 및 기업공시)- 이사회 및 주주총회 운영 실무, 후속 업무- 내부자거래 모니터링3. 법무관리 기본 업무- 국내외 계약(서) 검토, 사내 표준 계약서 작성, 계약 관리- 법적 분쟁가능성 사전 검토/예방- 분쟁 조정 및 소송 대응- RISK 관리를 위한 관련 법령 및 정부 정책 모니터링- 계약서류, 소송기록 등 각종 법률문서 관리 |
법학, 지식재산학, 경찰행정학, 행정학, 경영학[우대사항]- 기업 컴플라이언스팀, 법무팀, 감사팀 경력자- CCP(Certified Compliance Professional; 컴플라이언스 경영 전문가) 자격 보유자- ISO 37301 또는 ISO 37001 인증심사원 자격 보유자 |
판교 |
직군 |
담당업무 명칭 |
업무 세부 |
관련학과 |
근무지 |
연구개발 |
공정개발 |
'[암모니아 기반 그린 수소 추출(생산)사업의 핵심 기술 선제적 확보]1. NH3 Reformer 반응기 공정 개발 및 공정 설계- 반응기(추출기) 공정 개발 및 Optimization- 국책과제/지자체과제 수행2. 현장 Test 진행 및 장비 운영- 개발 제품 실제 Data 분석 및 개선- 현장 장비 운영 및 최적화 |
* 석사 지원 가능
[필수사항]- 관련 학과 학사 이상[우대사항]- 반응공학/촉매공학 전공자 |
평택
|
분석기술 |
[반도체/디스플레이 공정 用 차세대 Purifier 개발 및 기반 기술 확보]1. 신규 Purifier 개발 및 공정 개선- 특수 Gas Purifier 개발- Purifier 공정 개선 및 최적화2. Purifier 핵심 충진 소재 개발- 신규 소재(촉매/흡착제/Getter) 발굴 및 평가- 소재 특성 분석 및 개선 |
* 석사 지원 가능
[필수사항]- 관련 학과 석사 이상[우대사항]- 소재특성 분석(물리적/화학적) 경험자 |
||
프로그래밍 |
'[신규사업 분야인 암모니아 기반 그린 수소 추출 분야와 차세대 Gas Scrubbing 분야의 핵심 기술 선제적 확보]1. Programming 및 User Interface 개발- Reference Data 분석 및 Logical Sequence 정립- 사용자 편의 User Interface 개발2. System 전장 설계- 제품 Circuit 설계 및 Logic 개발- Control Mechanism 정의 및 최적화 |
* 석사 지원 가능
[필수사항]- 관련 학과 학사 이상[우대사항]- 전기 기사 자격증 소지자- Programming 및 전장 설계 경험자 |
||
제조 |
생산기술 |
[가스공급장치 및 정제기 등의 제품 생산을 위해 원재료 투입부터 제조공정을 효율적 방법으로 계획 및 관리]
|
전기/전자 공학
|
|
생산기술
|
[가스공급장치 등의 제품 생산 자동화를 위해 원재료 포함한 제조 공정 전반에 설비 운영 관리]
|
공정 자동화/로봇 제어 관련 학과
|
||
기구설계 |
[Total Gas Solution Provider로서의 고객사별 제품 설계]
|
기계계열
|
||
전장설계 |
[시장과 고객이 필요로하는 반도체 Infra 조성장비의 전장설계]
|
전기 / 전자 / 제어 / 메카트로닉스 학과
|
||
PLC Program |
[시장과 고객이 필요로하는 반도체 Infra 조성장비의 PLC Programming]
|
전기 / 전자 / 제어 / 메카트로닉스 학과
|
||
영업 |
영업관리 |
[가스 공급 시스템에 대한 고객 니즈 파악, 비즈니스 성장을 위한 시장과 경쟁사 동향 파악, 비즈니스 전략 수립]
|
인문학, 경영학, 마케팅, 화학/화학공학
|
|
Staff |
생산관리 |
[고객의 주문 예측부터 상품 납품까지 전 과정을 유관부서와 조율하고, 적정 재고 유지를 통한 제작 수량 관리]
|
산업공학, 산업경영공학
|
|
건설사업지원 |